레이블이 CloneZill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CloneZill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4월 22일 월요일

3.CloneZilla 큰용량 디스크를 백업한 이미지를 작은용량 디스크에 복원하기.

CloneZilla를 이용해서 128기가 SDD를 백업 했습니다.
실질적으로 들어있는 데이타 용량은 30~40기가 정도 되겠네요..
하지만 큰용량 디스크를 백업한 이미지를 작은용량 디스크에 복원을 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백업 이미지에 원래 용량보다 복원할 곳에 용량이 적어서 입니다.
복원시 사이즈 체크를 안하면 해결됩니다.
초기에 백업및 복원 할때 모드를 물어보는 Expert 모드로 실행을 합니다.


그럼 복원 전에 옵션을 고를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사이즈 체크를 skip 하는 -icds 옵션을 선택 합니다.

그리고 끝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화면에선 그냥 엔터를 쳐서 백업 이미지에 파티션테이블을 그데로 가져 오는데..그렬경우 용량이 틀리니 역시 에러가 납니다.
백업이미지와 비례하게 파티션 태이블을 만들어 주는 -k1 옵션을 선택 해줘야 합니다.



이제 나머지 복원 작을 해주면 됩니다.
복원할 용량 체크 무시를 하고...파티션 테이블 원본과 비례하게 재 생성 해주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실제 데이타가 복원할 타겟 디스크보다 크면 당연히 복원은 불가능 하겠죠?

2.CloneZilla를 TFTP,PXE 로 Synology NAS 에 올려서 사용


CloneZilla 에 기본적이 사용은  USB나 CD 에 미디어서 넣어서 부팅한후 사용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용량도 얼마 크지도 않은 USB나 CD에 넣어서 가지고 다니기도 번거롭고...만들어 놓으면 얼마후 쓰려고 하면 안보이고...그래서 현재 회사에서 사용중인 Synology NAS에 TFTP에 올려서 PXE를 이용해서 따로 미디어 없이 복원이내 백업을 할 PC에서 LAN 부팅을 이용해서 작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NAS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PXE 부팅 파일을 NAS에 복사해 줍니다.
제경우 Web 서버용 폴더 안에 PXE라고 만들어서 복사해 줬습니다.
PXE_My_Setting <- 제 설정을 압축해서 올려 놨으니 참고 하세요.

그리고 CloneZilla 배포판 압축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에서 live 폴더에 파일들을 NAS로 복사해 줍니다.

그리고 DSM 6 에서...
제어판 -> TFTP 로 가서 TFTP 서비스를 활성해 해주고 루트 폴더를 앞서 만들 폴더로 지정해 줍니다.


이제 PXE를 활성화 해줍니다.
NAS에서 DHCP 서버를 활성화 해논 상태가 아니라면.. 활설화를 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설정이 끝나지만 방화벽이 켜져 있는경우 TFTP 접속이 안될 경우가 있으니 방화벽을 구성해 줘야 합니다.

TFTP를 사용 중이라면 냊아 응용 프로그램 목록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허용해 주면 됩니다.


이것으로 NAS 쪽 설정은 끝났고..
PXE 관련 메뉴나 설정이 필요 합니다. 제경우는 옵션이 많겠지만... CloneZilla 관련 설정을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LABEL ClonezillaLive
 MENU LABEL CloneZilla Live - Normal
 TEXT HELP
 clonezilla-live-20180329-artful-amd64 (Ramdisk)
 SAMBA -> 192.168.0.2 -> -> haesup -> /home/Drive
 ENDTEXT
 KERNEL images/clonezilla/vmlinuz
 
 #APPEND initrd=images/clonezilla/initrd.img boot=live username=user union=overlay config components quiet noswap edd=on nomodeset nodmraid locales= keyboard-layouts= ocs_live_run="ocs-live-general" ocs_live_extra_param="" ocs_live_batch=no net.ifnames=0 nosplash noprompt fetch=tftp://192.168.0.2/images/clonezilla/filesystem.squashfs

 #===== 위에 tftp 주소로는 접속이 잘 안되서 HTTP 주소로 변경 ====
 APPEND initrd=images/clonezilla/initrd.img boot=live username=user union=overlay config noprompt nosplash components quiet noswap edd=on nomodeset nodmraid keyboard-layouts=NONE ocs_live_run="ocs-live-general" ocs_live_extra_param="" ocs_live_batch=no net.ifnames=0 fetch=http://192.168.0.2/PXE/images/clonezilla/filesystem.squashfs

그리고 랜으로 부팅을 해야 하는데...바이오스 설정에서 부팅 순서에서 Network boot 를 맨 위로 올려주면 됩니다.. 네트워크 이름이나 설정 방법은 컴퓨터마다 틀립니다.

아니면 부팅시 처음에 잠깐 나오는 화면에 보면 특정 키를 누르면 부팅 메뉴를 띄울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해당 키를 눌러서..

Network boot 를 사용 하면 됩니다.

네트워크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면 DHCP에서 IP를 받아오고

PXE에서 부팅 파일을 가져와서 앞서 만들어준 파일로 부팅이 됩니다.

CloneZilla를 선택해주면..

부팅메뉴 설정이 문제가 없다면 아래와같이 서버에서 filesystem.squashfs 파일 가져옵니다.
제경우 filesystem.squashfs 파일에 경로를 TFTP로 할경우 문제가 있어서..
그냥 HTTP 서버 경로로 지정을 해줬습니다.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백업이나 복구를 해보면 되겠죠..

클론질라 이미지 드렉토리를 선택해 줘야 하는데 여러가지 옵션이 가능하지만 제 경우는 SAMBA를 이용할겁니다.

NAS 주소를 넣어주고

도메인은 그냥 엔터

NAS 계정 이름을 넣어주고

클론질라 백업 이미지를 넣거나...이미지가 들어있는 폴더 경로를 지정해 줍니다.

1.0 으로 고르고

auto로 진행..

엔터..

앞서 입력한 NAS에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 하면..
아래 해당 폴더가 마운트 되고..용량이 표시가 된다면 다된겁니다.


이제 NAS로 CloneZilla 를 부팅 했고...
NAS 저장공간에 CloneZilla 백업을 하거나....복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로서 외장 하드나 USB 메모리를 들고 다니면 백업 복원을 할필요 없이....네트워크만 연결 되어 있다면 쉽게 백업 복원이 가능해졌습니다~

1.CloneZilla 소개.


예전에는 아시는 분들을 다 아실만한 NDD로 유명한... 피터 노턴 아져씨와 관계가 있는(?) 시만텍 사에 고스트를 많이 사용 했었고..
그 후엔 TrueImage를 많이 사용 했었지만....요즘들어 소프트웨어가 너무 무거워지고..왠지 모르게 백업 복원 성능이 조금 문제가 있다는 느낌이 있어서...
최근 들어서 애용하는 프로그램으로 Clonezilla가 있습니다.

인터페이스가 앞에 설명한 프로그램보다 후지지만...프로그램 본연에 기능인 백업/복원 성능은 흠잡을데가 없어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